전체 글53 모두에게 그럴싸한 계획이 있습니다. (비전보드 - 퇴직연금) 제 나이 33살(2023.12 기준) 아직 퇴직에 대한 생각을 하기에는 너무 젊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삶의 모토인 가족들과 삶이라는 여행에서 행복한 추억을 만들고 싶다.의 비전으로서 파이어족과 같이 이른 은퇴들을 고려했을 때는 빠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실패할 수 있다는 경우의 수를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당장 준비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하면 될까요? 1. 퇴직금 목표 설정하기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퇴직금이 얼마로 목표를 설정하느냐입니다. 그것에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산의 기준(자본금의 크기) 현금흐름의 기준(생활비의 크기) 자본금 & 생활비 기준으로 우리의 퇴직금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대한민국 기준 부동산이 자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본금의 규모로 퇴직 기준.. 2023. 12. 19. IRP 투자 편 : 배당주 투자(과세이연으로 세금 없는 투자 ETF) 1. IRP 투자할 때 배당주 이야기를 할까?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신경 써야 되는 부분은 세금입니다. 2,000만 원이 넘어가면 금융 소득종합과세자가 되어 종합소득세로 더 많은 세금에 대해서 걱정을 해야 됩니다. 또한 제가 좋아하는 배당금 투자에서도 매번 납입을 받을 때마다 배당소득세를 제출합니다.(EX:미국은 15% 한국은 15.4%로의 소득세 발생) 이렇게 세금이 발생하는데 만약 세금을 나중에 내면서 투자하면 얼마나 차이가 발생할까요? 아래와 같이 1억 원을 20년 동안 배당금만 재투자할 시 20년 후의 차이는 약 5,000만 원(소득세 면제 시 3.2억 원, 소득세 적용 시 2.71억 원)이 됩니다. 또한 매년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의 차이는 250만 원(둘 다 배당소득세 적용 값 소득세 면제 시 .. 2023. 12. 12. 미국 폐기물 1위 기업 (Waste Managment 티커명 NYSE: WM) 최근 읽었던 책 "1.5도의 미래 : 기후변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이야기들"을 통해 ESG에서 E(환경)에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과연 사회적 책임만으로 경제성이 부족한 사업에 지속 가능할까요? 사업이라고 하면 경제적 흑자가 발생해야지 운영이 가능한 사업입니다. (세상에 적자로만 유지되는 곳은 자선단체 아니면 사기 기업뿐입니다.) 그래서 앞으로의 산업이 성장하면서 환경적인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기업을 찾아보게 되었고 미국 1위 폐기물 처리 업체를 알게 되었습니다. 1. 기업개요 Waste Managment, Inc는 1968년 설립되어 쓰레기 수거 서비스로 시작하여 현재 미국, 캐나다 전역에서 정부를 제외한 민간 기업 분야 1위로 약 30% 점유하고 있으며, 폐기물 산업에.. 2023. 12. 9. 책으로 찾아보는 세계 중요 기업(1.5도의 미래 - 윤신영) 1. 1.5도의 미래 책을 "왜" 선정했을까? Blackrock에서 앞으로의 투자는 ESG의 항목을 기초하여 투자한다고 말한 시점부터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ESG에 맞는 키워드 중점으로 바라보아야 된다는 개념이 확고했던 시기를 지나 지금은 많이 희석된 분위기로 바꿔가고 있는 추세로 접어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관심이 없는 분야에 투자하여라라는 생각을 기반으로 지금이 ESG의 투자 시점이라고 생각하였고, 그중 가장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E(Environmental)의 부분을 간단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이 책을 고르게 되었습니다. 2. 책 이야기 책에서 소개되었던 방식은 아주 쉽게 서술식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저를 놀라게 했던 몇 가지 부분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지구 기온 평균의 마법에서.. 2023. 12. 6. 이전 1 2 3 4 5 6 7 8 ··· 14 다음